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8

2단원 정수와 유리수의 곱셈 중1 수학 2단원 정수와 유리수 곱셈  # 정수와 유리수의 곱셈(1) 부호가 같은 두수의 곱셈과 (2) 부호가 다른 두수의 곱셈의 의미를 이해한다.이때 플러스 부호는 결과 부호에 영향을 주지 않고 마이너스 부호는 결과 값에 영향을 끼침을 이해한다. 수직선에서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접근하여 이해시킨다.   자연수 곱하기 0은 결과 값이 0임을 인지시킨다 # 거듭제곱의 계산거듭제곱의 계산을 분류하여 지도한다. 괄호 안에 부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괄호가 없는 경우의 지수의 홀수 짝수일 경우를 분류하여 지도한다.       # 분배법칙도형의 면적으로 가시적으로 분배법칙을 설명하고 이해시킨다. 분배법칙이 적용되는 숫자로 분배법칙을 사용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 관련 글- 정수와 유리수 대.. 2024. 5. 10.
2단원 (2)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1) 3줄 대표 설명 목차 # 정수와 유리수의 덧셈과 뺄셈 1. 수의 덧셈 (1) 부호가 같은 두수의 덧셈 => 두 수의 절댓값의 합에 공통인 부호를 붙인다. ■ 수직선과 셈돌 모형으로 표현하여 설명하는 방식 - 과거에는 이런 방식 설명이 없었는데.... 과연 이게 더 쉬운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그냥 수직선이 더 쉬운 것 같다. (2) 부호가 다른 두 수의 덧셈 => 두수의 절댓값의 차에 절댓갑이 큰 수의 부호를 붙인다. # 덧셈의 교환 결합법칙 덧셈의 교환 결합 법칙이 성립하기 때문에 뺄셈을 모두 덧셈으로 고쳐서 계산한다. # 수의 뺄셈 => 빼는 수의 부호를 바꾸어 덧셈으로 계산하는데 일반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다. 암기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수직선으로 이해하면 충분히 이해 가능한 내용이다. 예전에 EBS.. 2024. 4. 22.
2단원_(2) 수직선, 절댓값, 정수와 유리수의 대소관계 2024. 4. 12.
2_(1) 정수와 유리수 2024. 4. 10.
1단원 (5)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활용 문제 최대공약수외 최소공배수 활용 문제와 개 목차 # 최대공약수외 최소공배수의 관계 두 자연수 A, B의 최대공약수를 G, 최소공배수를 L 이라고 할때 A와 B의 곱= L과 G의 곱과 같다. # 나머지가 같을 때 나머지가 다를 때 구분하여 알아두기 나머지가 같을 때와 나머지가 다를 때 구분하여 풀이 방법 정리하 # 가장 작은 기약분수 구하기 두 분수에 어느 것을 곱하여도 그 결과가 자연수가 되게 하는 가장 작은 기약분수를 구하는 문제 ■ 관련 글 - 최소공배수 개념 정리 - 최대공약수 개념 정리 오늘도 들러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Have a nice day~!" 2024. 3. 24.
1단원-(4) 최소공배수 2024. 3. 20.